본문 바로가기
음악관련 소식/플러그인 할인소식

Brainworx Mixing Month 플러그인 세일 (2) Black Box Analog Design HG-2 (~3/31, 31.9$)

by 검도하는 음악인 2025. 3.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엔지니어 싱어송라이터 김주영입니다.

오늘은 지난 글에 이어, Brainworx에서 이번 달에 세일 중인

1) Shadow Hills Mastering Compressor - 컴프레서

2) Shadow Hills Mastering Compressor Class A - 컴프레서

3) Black Box Analog Design HG-2 - 새츄레이터

4) Black Box Analog Design HG-2MS - 새츄레이터

5) Mäag Audio EQ4 - EQ

6) SPL Transient Designer Plus - 트랜지언트 쉐이퍼

이 6개의 플러그인 중 Black Box Analog Design 제품들을 소개해드리려합니다.

지난 글에서 말씀 드렸듯이, 1, 3, 5 제품은 개인적으로 구매해서 사용하고 있었고,

요번에 2, 4, 6번 제품을 Plugin Boutique를 통해 Brainworx에서 NFR(Not for Resale) 형태로 지원받았습니다.

또, 블로그 내의 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하시면,

제게 소정의 수수료가 들어와 먹고 살아가는데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ㅜㅠ

그럼, 시작해볼까요?

3,4) Black Box Analog Design HG-2, MS

https://www.pluginboutique.com/product/2-Effects/44-Saturation/10203-Black-Box-Analog-Design-HG-2/?a_aid=622ea9ee9160c

요거 측정을 해보니, 파라미터가 같은 건 둘 반응이 똑같이 나오는 것 같더라구요.

다른 점은 매뉴얼에 이렇게 나와있습니다.

그래서 한꺼번에 HG2 MS 기준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먼저, 요 친구는 이름 그대로 Black Box Analog Design이라는 곳에서 나온 HG-2를 플러그인으로 만든 것입니다.

눈 앞에 보이는 것 처럼 진공관이 떡하니 박혀있지요.

이 진공관들은 오극관(Pentode)과 삼극관(Triode)으로 나뉘어 있어,

이를 둘 다 거치게 하여 진공관의 새츄레이션을 집어 넣는게 이 하드웨어의 특징입니다.

또, 삼극관이 따로 더 있어 이를 섞을 수도 있습니다.

원래 하드웨어의 시그널 라우팅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Output에는 Sinemag 트랜스포머를, Parallel Saturation에는 12AX7 삼극관 한 쌍을 썼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파라미터를 보시면, 맨 왼쪽에 Saturation이 Parallel Saturation의 양을 결정할 수 있는 노브입니다.

IN/OUT 버튼은 이렇게 병렬 처리를 하느냐/마느냐 하는 버튼이고,

ALT TUBE는 Parallel Saturation을 담당하는 진공관의 제조사를 바꿔 Harmonic Distortion의 특징을 바꿔주는 버튼입니다.

어쨌든 이 Saturation 부분을 꺼도 기본적으로 Pentode와 Triode를 직렬로 거치기 때문에,

새츄레이션이 많이 들어가는 장비다..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에 따라 Pentode를 0%로 두거나 Triode를 0%로 두시면 소리가 안 납니다.

그럼 어떤 식으로 작동되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요건 위부터 Default 상태, Saturation In 상태, Alt Tube 누른 상태에서의 주파수 응답이고,

 
 

요건 오른쪽 아래 Calibration에서 Dark를 누른 상태와 Bright를 누른 상태입니다.

이건 Air Amount를 100%로 둔 주파수 응답 상태이구요.

 
 
 

요 친구는 위쪽부터 Default 상태, Saturation In 상태, Alt Tube 누른 상태에서의 Harmonic Distortion입니다.

병렬로 Saturation을 넣을 때 확실히 Harmonic Distortion이 확 올라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들어봐도 배음이 확 살아납니다.

 

마지막으로, 이 친구는 컴프레서가 아닌데도 일정 이상의 음량이 들어가면 살짝 컴프레션이 걸리게 됩니다.

왼쪽은 Default 상태, 오른쪽은 병렬로 Saturation 설정이 들어간 상태입니다.

이제 요 파라미터는 병렬로 들어가는 Saturation 소리를 어떻게 넣을것이냐..인데요,

Solo 버튼을 누르면 해당하는 병렬로 출력하는 소리만 들을 수 있습니다.

 
 
 

각 파라미터 별로 어느 대역의 소리들이 들어가나를 주파수 응답으로 측정했습니다.

왼쪽부터 High Pass, Band Pass, Flat, Band Stop, Low Pass 순입니다.

개인적으로는 Saturation을 Flat 상태로 넣고,

Pentode를 조금 줄이고 Triode를 좀 늘려서 사용하는 설정이 소리가 좋네요.

최종 단에서 살짝 새츄레이션 넣어줄 때 쓰면 곡에 좋은 감미료가 될 듯 하네요.

진공관의 새츄레이션 쪽 플러그인을 고민하고 계신다면,

이렇게 저렴하게 할인할 때 장만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또 뵙겠습니다~^^

반응형